Mia's Life Log/Mia's Info Box
부 주거지원 혜택 확대! 신혼부부·다자녀가정을 위한 2025년 최신 제도 총정리
MIA100
2025. 5. 7. 16:46
안녕하세요!
정부지원제도 몰라서 놓치는 경우가 종종 생겨서 알림 설정 받고 있는데요
오늘 2025년 5월 최신 주거지원 정책 안내를 받아서 정보 공유하려고 정리해봤어요
신혼부부·다자녀 가정이 꼭 알아야 할 정부의 주거지원 혜택을 핵심만 뽑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
✅ 1. 신혼부부·다자녀 가구 특별공급 확대
내 집 마련, 더 이상 꿈이 아닙니다!
📌 신청 대상
- 혼인 7년 이내의 신혼부부
- 예비신혼부부 (입주 전까지 혼인 예정)
- 한부모가족 (만 6세 이하 자녀 양육)
- 미성년 자녀 2명 이상인 다자녀 가구
🆕 2025년 달라진 점
- 출산특례 신설
→ 2024년 6월 19일 이후 출산자는 특별공급 당첨 이력이 있어도 1회 재신청 가능 - 신생아 우선공급 비율 상향
→ 기존 15% → 25%, 공공주택은 최대 50%까지 확대 - 무주택 기준 완화
→ 청약 공고일 기준 무주택이면 신청 가능 (혼인신고일부터 아님) - 소득 요건 완화
→ 맞벌이 가구 기준 연소득 최대 200% (월 1,440만 원)까지 허용
📝 신청 방법
-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www.applyhome.co.kr 또는 모바일 앱 접속
- 특별공급 청약일에 맞춰 신청서 제출
- 당첨자 발표 후 서류 제출 → 계약 진행
⚠️ 청약 일정은 수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청약홈에서 최신 공고 확인 필수!
✅ 2. 다자녀 전세임대 지원 확대
아이들과 더 넓은 집에서, 전세도 지원됩니다!
📌 신청 대상
- 미성년 자녀 2명 이상 무주택 세대주
-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 가구
💰 지원 내용
- 수도권: 최대 1억 5,500만 원
- 광역시: 최대 1억 2,000만 원
- 그 외 지역: 최대 1억 500만 원
➕ 자녀 2명 초과 시 → 자녀 1인당 2,000만 원 추가 지원
예시) 미성년 자녀 4명 = 수도권 최대 1억 9,500만 원
📝 신청 방법
- LH 마이홈포털 www.myhome.go.kr 접속
- 공고 확인 후 신청기간에 온라인 접수
- 심사 → 대상자 발표 → 주택 물색 및 계약
⚠️ 신청 일정은 수시 변경 가능! 마이홈포털에서 최신 공고 필수 확인
🏡 지원 절차 요약
- 입주대상자 선정 → 통지서 수령
- 원하는 주택 물색 (지정 기간 내)
- 계약 전 LH 사전 확인
- 계약 체결 후 서류 제출
- LH가 집주인에게 전세금 지급 → 입주
- 입주 후에는 매달 임대료만 납부
✅ 3. 서울시 다자녀 가구 지원 확대
서울에서 자녀 키우기, 더 쉬워집니다!
📌 신청 대상
- 서울시 거주 + 자녀 2명 이상 가정 (기존 3자녀 → 2자녀로 확대)
💸 지원 내용 요약
- 첫만남 이용권: 둘째 이상 자녀에게 300만 원 현금 지급
- 출산축하금: 축하금 확대 지급
🧹 생활·육아 지원
- 서울형 가사서비스: 연 6회 → 연 10회 확대
- 다태아 안심보험: 무료 가입 지원
🚗 교통·생활 편의
- 공영주차장 자동감면
-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면제
- 공공시설 할인 이용
📝 신청 방법
- 서울시청 홈페이지 www.seoul.go.kr 또는 120 다산콜센터
- 각 서비스별로 동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
- 가족관계증명서, 주민등록등본 등 필요서류 제출
- 심사 후 지원 혜택 제공
⚠️ 서비스별 일정과 조건 상이 →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상세 확인 필수!
📌 꼭 기억하세요!
- 신청기간은 수시로 바뀔 수 있습니다. 반드시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정보 확인!
▶ 청약홈 | 마이홈포털 | 서울시청 홈페이지 -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, 서둘러 신청하세요.
- 궁금한 점은 아래로 문의해주세요:
☎ LH콜센터: 1600-1004
☎ 한국부동산원: 1644-7000
☎ 서울시 다산콜센터: 120
정부에서 주는 혜택 놓치지 말고
알차게 챙기자고요 ㅎㅎㅎ
📌 이 글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는 AI 도구를 활용해 글 작성자가 직접 제작한 창작물입니다. 무단 사용은 삼가주세요.